
https://dev.to/bespoyasov/clean-architecture-on-frontend-4311 위 글의 일부를 번역 & 정리한 글입니다. 아키텍처와 설계 시스템 설계는 나중에 다시 조립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분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너무 많은 작업 없이 쉽게 조립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키텍처의 또 다른 목표는 시스템의 확장성입니다.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은 지속적으로 변경되며, 새로운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쉽게 변경할 수 있어야 하는데, 클린 아키텍처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클린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도메인에 대한 근접성에 따라, 책임과 기능 부분을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도메인 이것은 실제 세계의 변환을 반영하는 데이터 변환입니다. 예를 들어, 제..
http://www.javapractices.com/topic/TopicAction.do?Id=205 위 링크의 글을 번역하여 나름대로 정리한 글입니다. 위 글은 자바의 package 를 어떤 기준으로 나눌지에 대한 글입니다. 되게 당연해보이고 이미 아는 것 같은 내용이지만, 생각보다 당연하게 뇌피셜 기준으로 디렉토리를 막 만드는 나를 발견합니다. 프로젝트 디렉토리 구조를 세울 때마다 제발 이 글 좀 보고 각성하라고 미래의 나에게 이 글을 바칩니다. 응용 프로그램을 빌드할 때 첫 번째 질문은 "어떻게 패키지로 나눌 수 있습니까?"입니다. 일반적인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이 질문에 답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 것 같습니다. 기능별 패키지 단일 기능과 관련된 모든 항목을 단일 디렉토리에 배치합니다. 그..
- Total
- 189,979
- Today
- 11
- Yesterday
- 23